맨위로가기

가지메스탄 연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지메스탄 연설은 1989년 6월 28일 코소보 전투 600주년을 기념하여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한 연설이다. 이 연설은 코소보의 자치권 축소, 세르비아 민족주의 고조, 세르비아인들의 코소보 이주 등 당시의 정치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밀로셰비치는 연설을 통해 세르비아의 단결과 다민족성을 강조하며, 코소보를 세르비아의 일부로 간주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연설은 세르비아 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지만, 다른 유고슬라비아 국가들과 국제 사회에서는 우려를 낳았으며,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지메스탄 연설
개요
이름가지메스탄 연설
원어 이름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Говор на Газиместану
원어 이름 (세르비아어 라틴 문자)Govor na Gazimestanu
위치가지메스탄, 코소보 평원, 프리슈티나
날짜1989년 6월 28일
배경
주제코소보 전투 600주년, 무력 충돌 가능성
주요 인물
연설자슬로보단 밀로셰비치
기타
코소보 전투 600주년 기념 배지
연설 기념 배지
좌표42°41′26″N 21°7′25″E
군중 규모100만 ~ 150만 명 (추정)

2. 연설 배경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코소보에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다시 확산되고 세르비아인들이 지역의 주로 알바니아 경찰과 지방 정부로부터 차별을 받으면서, 경제 상황까지 나빠지자 1961년부터 1987년 사이에 약 10만 명의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린이 코소보를 떠났다.[11]

밀로셰비치는 이 문제를 이용하여 1987년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의 지도자가 되었고, 1989년 초에는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대폭 축소하는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켰다. 이는 반관료주의 혁명으로 이어졌다.[11] 1989년 3월, 새 헌법에 반대하는 시위는 세르비아 보안군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다.[11]

2. 1. 코소보 전투 600주년 기념 행사

이 연설은 코소보 전투 600주년 기념 행사의 절정이었다. 이 연설은 몇 달 동안 이어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세르비아와 코소보의 관계를 주제로 한 언론의 집중적인 보도를 통해 홍보되었다. 다양한 세르비아 극작가, 화가, 음악가, 영화 제작자들은 코소보 전설의 주요 모티프, 특히 세르비아의 배신이라는 주제를 강조했다.[11] 1988년 중반부터 1989년 초까지 코소보 세르비아인들은 "진실을 위한 집회"를 조직했고, 이 자리에서 코소보의 상징이 두드러지게 전시되었다. 흔한 주제는 코소보 외부와 세르비아 외부의 세르비아인들이 코소보 세르비아인의 어려운 처지에 대한 진실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었고, 이는 국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로 감정적으로 제시되었다.[11] 세르비아인 거주 도시들은 새로운 "애국적 지도부"로부터 호의를 얻기 위해 더욱 애국적인 집회를 개최하기 위해 서로 경쟁했으며, 이는 민족주의적 정서를 더욱 고조시키는 데 기여했다.[11]

라자르 공의 무덤; 그의 유해는 집회 전 몇 달 동안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을 행진했다.


이 행사는 또한 중요한 종교적 의미를 부여받았다. 가지메스탄 집회 전 몇 달 동안, 코소보 전투에서 사망한 라자르 세르비아 공의 유해가 대대적으로 홍보된 가운데 유고슬라비아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을 행진했다.[11] 수많은 조문객들이 유물을 보고 기념 대중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몇 시간 동안 줄을 섰고, 연설을 통해 세르비아가 다시는 패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투어가 끝나자 유물은 가지메스탄 근처 코소보의 그라차니차 수도원에 다시 안치되었다.[11]

2. 2. 행사 참석자

행사에는 50만 명에서 200만 명 사이의 군중이 참석했으며, 대부분 세르비아인이었다. 이들은 세르비아뿐만 아니라 유고슬라비아 내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 해외에서도 참석했다.[1] 세르비아 정교회 총대주교 게르만 2세를 비롯한 세르비아 정교회 지도부, 안테 마르코비치 유고슬라비아 총리,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중앙위원회 간부회,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지도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구성원 등이 참석했다.[1] 반면 스티페 슈바르 크로아티아 대통령 구성원, 미국 대사, 유럽 공동체 및 NATO 국가 대사들은 보이콧했다. (터키 대사는 참석)[1]

참석자
게르만 2세
(세르비아 정교회 총대주교)
암필로히예 라도비치
모미르 불라토비치야네즈 드르노우셰크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의장)
밀로 주카노비치슬로보단 글리고리예비치
(유고슬라비아 의회 의장)
페타르 그라차닌
(내무부 장관)
보리사브 요비치
벨코 카디예비치
(국방부 장관)
미할 케르테스
브란코 코스티치부디미르 론차르
(외무부 장관)
데산카 막시모비치안테 마르코비치
(유고슬라비아 총리)
나세르 오리치
(보안)
밀란 판체브스키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 중앙위원회 의장)
오브라드 필리야크요비차 스타니시치
(보안 책임자)
야네즈 스타노브니크


3. 연설 내용

밀로셰비치는 가지메스탄 연설에서 역사, 기억, 연속성을 결합하여 세르비아인의 국가 생존을 위한 투쟁을 강조했다. 그는 코소보 전투 기념일에 세르비아가 국가적, 민족적, 정신적 통합을 되찾았다고 주장하며,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을 코소보 전투와 함께 세르비아의 패배로 간주했다.[13][16]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지도부의 분열을 비판하며, "세르비아 지도부가 분열된 채로 남아 자신들의 국민에게 불리한 타협을 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르비아가 역사적으로 다른 민족을 정복하거나 착취한 적이 없으며, 항상 해방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강조했다.[15]

또한,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의 단결과 다민족성을 강조하며, "세르비아에는 세르비아인 외에도 다른 민족과 국적의 구성원들도 살고 있습니다... 이것은 세르비아에게 불리한 점이 아닙니다. 저는 그것이 세르비아의 장점이라고 확신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사회주의의 미덕을 칭찬하며, 민족적 관용과 협력의 중요성을 역설했다.[15][17]

밀로셰비치는 "무력 충돌"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번영을 위한 투쟁을 촉구했다. 그는 중세 세르비아를 유럽의 수호자로 묘사하며, 유럽의 가치, 기독교, 근대성, 문명에 호소했다.[17][18]

4. 연설 반응

군중들은 "코소보는 세르비아다"라고 외치며 연설에 열광적으로 호응했다.[11] 어떤 이들은 밀로셰비치를 ("작은 라자르")라고 부르며 "차르 라자르, 당신 곁에 슬로바가 없어서 불행했소"라고 노래했고, 다른 이들은 "유럽이여, 우리가 당신을 지켰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오!"라고 외쳤다. 이는 기독교 유럽을 침략하는 무슬림 투르크에 맞서 세르비아가 스스로를 희생했다는 코소보 신화의 핵심 요소를 언급한 것이다.[17]

유명한 시인이자 학자인 마티야 베치코비치는 이 행사를 "세르비아 민족 반란의 절정"이라고 칭찬했다.[20] 베오그라드 신문 ''정치''는 밀로셰비치의 연설 전문을 코소보에만 전념하는 특별판으로 재수록했다. 이 신문은 사설에서 "우리는 다시 코소보 시대에 살고 있으며, 유고슬라비아와 사회주의의 운명이 결정되는 것은 코소보와 코소보 주변에서이다. 그들은 우리에게서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코소보를 빼앗으려 하지만,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8] 야네즈 드르보셰크 유고슬라비아 집단 대통령단의 슬로베니아 위원은 행사 동안 밀로셰비치 옆에 앉아 있었고, 나중에 세르비아 대통령의 기분을 "도취"라고 묘사했다.[17]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이 연설을 따뜻하게 환영했지만, 다른 유고슬라비아 국가들과 반(反) 밀로셰비치 세르비아인들은 이를 경계했다. 밀로셰비치가 표현한 민족주의적 감정은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의 반민족주의적 접근 방식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로버트 토마스는 "이는 티토주의 유산을 상징적으로 부인하는 역할을 했다"라고 언급했다.[21]

가지메스탄에 참석했던 영국 기자 마커스 태너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대표들은... 초조하고 불편해 보였다"고 보도했으며, 세르비아 민족주의 감정의 분출이 "아마도 코소보에서의 해결 가능성을 영구적으로 파괴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23]

영국 신문 ''인디펜던트''와 같은 국제 언론은 이 행사의 전례 없는 특성과 티토 아래에서 옹호되었던 반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난 급진적인 변화를 언급했다. 연설에서 상호 존중과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것은 "예상외로 타협적"이라고 묘사되었지만, 밀로셰비치의 수사와 코소보 알바니아인에 대한 그의 널리 비판받는 정책의 현실 사이의 대조도 언급되었다.[23]

5. 연설의 영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문서 제목, 섹션 제목, 요약(있는 경우)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Kosovo 1989: The (Ab)use of the Kosovo Myth in Media and Popular Culture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 서적 Balkan Holocausts?: Serbian and Croatian victim-centered propaganda and the war in Yugoslav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
[3] 서적 The Migration of Serbs and Montenegrins from Kosovo and Metohija
[4] 서적 In Search of Greater Albania C. Hurst & Co 2003
[5] 서적 The Yugoslav Drama McGill-Queen's Press 1996
[6] 서적 Burn This House: The Making and Unmaking of Yugoslavia Duke University Press 2000
[7] 서적 The Third Reich in the Unconscious: Transgenerational Transmission and Its Consequences Psychology Press 2002
[8] 서적 The Road to War in Serbia: trauma and catharsi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0
[9] 서적 The War in Croatia and Bosnia-Herzegovina, 1991–1995
[10] 서적 In God's Name: Genocide and Religion in the Twentieth Century Berghahn Books 2001
[11] 서적 The Ambivalence of the Sacred: Religion, Violence and Reconciliation Rowman & Littlefield 2000
[12] 뉴스 Naša Borba 1996-06-14
[13] 서적 Neighbors at Wa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Yugoslav ethnicity, culture, and history Penn State Press 2000
[14] 서적 The Serbian Project and Its Adversaries: A Strategy of War Crimes C. Hurst & Co. Publishers 2003
[15] 문서 The Kosovo Conflict and International Law: An Analytical Documentation 1974–1999 http://www.slobod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6] 서적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šević and aft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17] 서적 Slobodan Milošević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Duke University Press 2003
[18] 서적 Evil and Human Agency: Understanding Collective Evildo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9] 뉴스 Why Serbia Will Fight for 'Holy' Kosovo; And the Peril for Western Armies Approaching the Balkan Tripwire Washington Post 1993-06-13
[20] 문서 Milošević: The People's Tyrant I.B. Tauris 2004
[21] 서적 Serbia Under Milošević: Politics in the 1990s C. Hurst & Co. Publishers 1999
[22] 서적 Genocide After Emotion: The Postemotional Balkan War Routledge 1996
[23] 뉴스 Milosevic carries off the battle honours The Independent 1989-06-29
[24] 뉴스 Slovenian TV news 1989-06-28
[25] 서적 Croatia: A History C. Hurst & Co. Publishers 1999
[26] 뉴스 The Serbs: the sweet and rotten smell of history Daedalus 1997-06-22
[27] 웹사이트 Milošević testimony to the ICTY https://www.un.org/i[...] un.org 2005-01-26
[28] 웹사이트 Milošević testimony to the ICTY https://www.un.org/i[...] un.org 2002-02-14
[29] 뉴스 Naša Borba 1996-06-14
[30] 웹사이트 transcript 020214IT https://www.un.org/i[...] un.org 2002-02-14
[31] 문서 The Kosovo Conflict and International Law: An Analytical Documentation 1974-1999 http://www.slobod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2] 서적 Genocide After Emotion: The Postemotional Balkan War Routledge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